BORDER-LESS.SITE

instagram youtube

ENG

«보더리스 사이트; Border-less.site»는 문화역서울 284의 «DMZ»와 «개성공단»에 이은 지역연구/전시 프로젝트이다. 서울역에서 출발한 경의선 열차가 도라산역을 지나 개성–평양–신의주–단둥–베이징으로 이어지니 신의주와 단둥을 주목한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었다.
  신의주와 단둥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공식적/비공식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접경 지역이다. 한반도와 중국의 군사요충지고, 조선 시대 6백 년간 1천 회 이상 양국의 외교 사행이 오간 한중 교류의 현장이다. 일제강점기 압록강 중상류에 수력발전 댐인 수풍댐이 세워지고, 지금은 북한과 중국이 공동 관리하고 있는 협력의 장소다. 그리고 북한의 대외 협력과 교류의 대부분이 이루어지는 국제 시장의 길목이기도 하고, 이데올로기의 불완전함을 상징하는 붉은 낙인이 찍힌 도시이기도 하다.
  경계 없는 경계가 그어진 신의주와 단둥, 그곳에서 활발하게 이어져 온 교류와 월경의 흔적들은 지금의 우리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준다. 특히 단둥에는 평양 직배송 업체가 성업 중이고, 당일치기 신의주 여행객들이 중국 각지에서 모여든다. 그리고 삼성 모바일폰으로 평양과 서울에 전화를 거는 한국 사람, 조선족, 북한 사람, 북한 화교 등이 이곳에 함께 살고 있다. 한국말을 중심으로 느슨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이들은 남북관계의 부침에 따라 규모가 늘거나 줄고는 있지만 그 삶의 역동은 여전히 힘차다. 그럼에도 단둥은 우리에게 별로 알려지지 않은 도시다. 역사 교과서와 북한발 뉴스의 배경으로 종종 접할 뿐이다. 오히려 잘못 알고 있으면서도 자세히 알려 들지 않는 곳 가운데 하나다. 다양한 예술 작업을 통해 ‘경계 없는 경계’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오랫동안 기각해온 월경의 상상력을 다시 불러내는 것은 그래서 흥미로웠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은 신자유주의적 지구화(globalization)의 대안을 요구하고 있다. 지역공동체의 자활과 네트워크도 그중 하나로 거론된다. 팬데믹 이후 급격하게 변화할 동북아의 정치경제적 지형에 대응하는 신의주와 단둥의 공생적 관계는 향후 ‘공유거점도시’로서의 가능성뿐만 아니라 동북아의 ‘평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시팀은 봤다. 남북한, 중국, 일본, 러시아와의 교류의 흔적이 남아 있는 이 두 도시를 들여다보는 것이 변화를 향한 용기와 지혜가 필요한 지금 시기에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유의미한 질문이 되기를 바랐다. 무질서한 접경의 지역성이야말로 창조성을 갖고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보더리스 사이트; Border-less.site»는 신의주-단둥 지역을 사회학, 문화인류학, 건축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통해 시작됐다. 지난해 한성대 박우 교수가 만주 지역의 100년 역사를 사회학자의 관점에서 되돌아봤고, 건축역사학자인 안창모 교수는 경의선의 역사, 단둥의 근대건축물, 수풍댐을 비롯한 도시 발전 과정의 자료 수집과 연구를 통해 두 도시를 과거와 현재를 살펴봤다. 또한, 기획팀과 참여작가들은 서울대 문화인류학과의 강주원 박사와 함께 현지 리서치 답사를 여러 차례 다녀왔다. 18명의 작가는 반나절이면 도착하는 중국의 단둥에서 주요 경계 지역을 경험하고, 그곳에 사는 ‘가까운 타인’들을 예술 작업으로 불러냄으로써 우리와 타인, 타인과 타인을 연결하고자 했다.
  본 전시는 리서치 섹션을 도입부로 삼아 ‘접경 지역, 혼종의 시간’, ‘타자화, 인식의 사각지대’, ‘경계에 대한 수행적 시도’ 등 세 개의 축을 따라 진행된다. 신의주-단둥 지역에서 수없이 이루어졌던 월경의 기록과 잔해를 재맥락화한 작업들이 다양하게 펼쳐진다. 출품작들은 본 전시를 위한 커미션 작업으로 어떤 완결성을 기대하기보다는 강렬한 경험의 후유증을 다양한 층위에서 공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대부분 작업이 물리적 경계의 해체뿐만 아니라 우리 안의 막연한 심리적 경계를 흐리는 월경의 수행적 감상도 기대하게 한다.
  지속된 분단이 만든 집단 탈출에 대한 꿈과 그 한계를 판타지 장르로 전환하는 최윤을 비롯해 김태동, 임동우, 라오미, 신제현, 코우너스, 맛깔손 등은 신의주와 맞닿은 단둥 지역의 혼종의 시간들을 작품으로 선보인다. 이 밖에 이주민들의 고단한 삶의 이야기를 장소 기반으로 풀어낸 이주용의 ‹장소, 사물의 기념비›, 압록강 하구 습지의 축적된 시간을 호명할 수 없는 형상으로 형상화한 김주리의 ‹모습(某濕)› 등은 국경지대로 제한될 수밖에 없는 접경 지역의 풍경과 장소에 공간적 상상을 더한 다양한 시선을 담고 있다.
  이원호의 ‹모씨 이야기_borderless›는 단둥에서 20년간 한인회장을 했다고 말하는 개인의 무용담이 국가적 사건들과 구분되지 않는 지점을 드러내 보이고, 서현석은 ‹안개›라는 작업을 통해 가까이 갈수록 견고함을 잃지만 관습적으로 확고하게 규범화되는 경계를 탐색한다. 황호빈과 김황도 첨예한 갈등과 긴장 속에 있는 이 지역을 보다 수행적으로 사유하면서 인식의 사각지대에서 놓여 망각의 시간 속에서 섞여 들어간 경계에 대한 사유를 또 다른 이야기로 불러낸다. 멀리 있다고 믿었지만 의외로 가까이 있는 타자에 대한 미디어 작품과 퍼포먼스로 구성된 ‘타자화, 인식의 사각지대’ 섹션을 통해 거대한 역사의 물결을 관통하는 개개인의 서사를 양면적으로 혹은 제삼자의 입장에서 살펴볼 수 있다.
  바래, 정소영, 김보용, 전소정 등은 시간이 정체되어 있기보다는 빠르게 지나간 한 장소를 기록한다. 정소영은 70여 년의 시간을 사이에 두고 이미륵의 소설 『압록강은 흐른다』를 조형 작업으로 변환한다. 남과 북의 연주자가 견우와 직녀의 설화를 기반으로 한 곡을 새롭게 해석한 전소정의 ‹이클립스›는 서로 다른 삶이 예술적 상상력으로 조우할 수 있을지 질문한다. ‘경계에 대한 수행적 시도’에서는 접경 지역이 오랫동안 배태하고 있는 특징이 앞으로 우리 안에서 어떤 가능성으로 등장할 것인지 엿보는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쌍둥이 도시에 담긴 월경의 잔해들을 좇다 보면, 주파수가 잡히는 곳에서는 신호로 들리나 그곳을 벗어나면 잡음이 되는 상황이 오래 지속된 것을 알 수 있다. 신호와 잡음의 혼란 속에서 ‘함께 번영’의 가치가 결국 싸늘한 역사 속 이벤트로 남는 것을 목도했고, 그 경계 너머를 꿈꾸는 것은 여전히 힘겨운 일로 판명됐다. 그러나 연결과 연대의 메시지는 여전히 살아 있다. 그래서 오랜 시간 함께 성장한 신의주-단둥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다양한 시선으로 살펴보고, 경계가 갖는 한계에서 탈주하는 예술적 상상을 통해 경계 너머의 가능성과 의미를 확보해보고자 했다. 우리는 어떤 위험 앞에서도 아이러니와 냉소주의의 다리를 가로질러야 한다.

박성태
예술감독

The Border-less.site exhibition was developed as part of Culture Station Seoul 284’s regional research/exhibition initiative; an initiative that has previously included DMZ (2019) and Gaeseong Industrial Complex (2018). The Gyeongui train line from Seoul Station would have stopped at Gaeseong, Pyongyang, Sinuiju, Dandong, and Beijing via the Dorasan Station in Paju, and it therefore feels like a natural step that Sinuiju and Dandong have been highlighted following the two preceding projects.
  With the Amrok River (Yalu River in Chinese) running between them, Sinuiju and Dandong are border areas where official and unofficial exchanges actively take place. They are military and diplomatic hubs of both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where the diplomatic emissaries of both countries travelled back and forth more than 1,000 times during the 600 years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Supung Dam, a hydroelectric dam, was built in the uppermiddle reaches of the Amrok River, and now forms a site of cooperation jointly managed by North Korea and China. The dam and surrounding areas are also a gateway to the international market, where most of North Korea’s foreign cooperation and exchange takes place. On the other hand, they bear a red mark, symbolising the imperfection of these ideologies.
  Sinuiju and Dandong, where a borderless border is drawn and where traces of active exchanges and border crossings, still have various implications today. In particular, direct shipping companies from Pyongyang still thrive in Dandong, and people from all parts of China gather for day trips to Sinuiju. In addition, inhabitants include South and North Koreans, Joseonjok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nd North Korean Hwagyo (ethnic Chinese residents in North Korea), who all make phone calls to Pyongyang or Seoul on their Samsung mobile phones. The proportion of residents who maintain loose relationships centered around the Korean language increases or decreases depending on the ups and downs of inter-Korean relations, but the dynamic exchange between the regions remains strong. Nevertheless, Dandong remains a city that is not very well known to most South Koreans. It is occasionally mentioned in history textbooks, or in news from North Korea, but not very often. Rather, it is one of those places about which we have a large amount of misinformation, but where we do not attempt to know the truth. It was therefore interesting to revisit the meaning of the ‘borderless border’ via the various artworks and to recall the imagination evoked around crossing the border, much of which has long been rejected.
  The Covid-19 pandemic has prompted calls for alternatives to neoliberal globalization. The autonomy of local communities and their local networks are mentioned as one such of these alternatives. The curatorial team believe that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Sinuiju and Dandong, which corresponds to the potentially rapid-changing political and economic landscapes in post-pandemic Northeast Asia, will not only serve to make them ‘shared hub cities’, but will also greatly contribute to peace in the region. As curators, we hope that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two cities, both of which retain the traces of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and between Korea and China, and Japan and Russia, will bring up meaningful questions around the need to find new possibilities at a time when attitudes of courage and wisdom toward change are necessary. This is because we believe that the locality of the disorderly border contains creativity.
  This exhibition began with research into various fields, including sociology, cultural anthropology, and architecture history in the Sinuiju-Dandong area. Last year, Professor Park Woo of Hansung University analyzed the 100-year history of Manchuria from the perspective of a sociologist, while architectural historian Professor Ahn Changmo examined the past and the present of the two cities through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around the urban development processes, including the history of the Gyeongui line railways, of Dandong’s Modern Architecture, and of Supung Dam. In addition, the curatorial team and participating artists undertook several field trips to the area, accompanied by Dr. Kang Ju-Won of the Department of Anthrop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Eighteen artists attempted to connect us to the Other, among the Other: through experiencing life in the major border areas in Dandong, only half a day’s travel from Seoul, and by inviting ‘the close Other’ there to their artworks.
  Using findings from the research as its introduction, the exhibition consists of three parts: ‘Border Area: Time of Hybridity’, ‘Othering: The Blind Spot of Perception’, and ‘Performative Attempts around the Border’. It showcases various works that attempt to recontextualize the archive of border crossing materials, which has been attempted in this area on numerous occasions. The commi-ssioned artworks can be understood better as works which share the aftereffects of an intense experience on various levels, rather than simply as completed artworks. Most of the works not only dismantle the physical boundaries, but also allow the audience to conduct a performative review of border-crossing that blurs the vague psychological boundaries within us.
  Including Choi Yun, who transforms the dream of group escape induced by the continued national division into fantasy, Kim Taedong, Yim Dongwoo, Rhaomi, Shin Jehyun, Corners Studio, and Mat-kkal deliver the hybridity of time in Dandong area facing Sinuiju. In addition, works like Lee Juyong’s Places , Monument of Objects (2019), which illustrates hard lives of migrants based on places, and Kim Juree’s Wet Matter_004 (2020), which depicts the accumulated time of wetland of the Amrok River estuary in an impenetrable shape, have diverse views that add spatial imagination to the landscape and location of the area that can only defined as a border area.
  Lee Wonho’s The Episode of Mr. So-andso_ borderless (2021) reveals the blurred line between the story of a man who insists that he has been serving as the President of the Korean community in Dandong for 20 years, and the recording of domestic incidents. Seo Hyun-suk’s Mist 1, 2 (2021) explores the boundary that goes through conventional normalization, which, when closely observed, is not as solid as it looks afar.
  By contemplating the area in conflict and the resulting tension in more performative ways, Huang Haobin and Kim Hwang also unearth ideas regarding the boundary, which has dissolved in a time of amnesia and under perception’s blind spot. Othering: The Blind Spot of Perception consists of digital media works and performances about the Other that is believed to be far away, but which in fact exists nearby. This section of the exhibition examines individual narratives that penetrate the metahistory from both sides, or indeed from a third party’s perspective.
  BARE, Chung Soyoung, Kim Boyong, and Jun Sojung, records a place where time has passed quickly. Chung Soyoung transforms Li Mirok’s novel The Yalu River flows: A youth in Korea (1946) into a sculpture, over 70 years after it was first written. Jun Sojung’s EclipseI, II (2020) is an interpretation, from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musicians, of a score based on the tale of Seventh Night, that questions whether two different lives can meet through the artistic imagination. The artworks in the Performative Attempts around the Border section offer a fresh look at what possibilities can be dreamed up by immersing oneself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rder area, which has long existed.
  Following the traces of border-crossing here is like hearing a faint radio signal, which becomes strong and clear when in the presence of these twin cities, and which then fades into faint noise upon leaving. It has been this way for a long time. Amid the confusion of the signal and noise, we observe that the value of ‘prosperity together’ has eventually been written off as a one-off event in history, and that dreaming beyond the border still proves to be difficult. However, the messages of connection and togetherness are still alive. Therefore, we want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Sinuiju and Dandong, cities which developed side by side for a long time,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in doing so to find the possibilities and meanings of crossing the boundary through boundless artistic imagination. We must cross the bridge of irony and cynicism, in the face of any risk.

Park Seongtae
Art Director

압록강엘 다녀왔다. 리서치를 기반으로 한 전시를 준비하는 사전 답사였다. 예술가, 건축가, 큐레이터, 연구자들이 동행했다. 압록강에서 함께 바라본 신의주는 생각보다 광활했고, 너무 가까웠다. 맞은편 중국에서 만난 한국어와 조선어의 혼종은 새로운 시야를 열어줬다. 그리고 코로나19가 터졌다. 국가 간의 경계는 더욱 선명해졌고, 우리 안의 경계 역시 타자에 대한 배타심과 공포심을 가득 품은 채 견고해져갔다. 여기서부터 이 전시 «보더리스 사이트; Borderless. site»는 시작한다.
  수많은 교류와 빈번한 소통으로 ‘경계 없음’을 표상하고 있는 단둥-신의주는 접경 지역에 대한 우리 인식을 확장시켜줄 수 있는 “그 너머의 실마리”이지만, 중요한 단서일수록 그 모습을 쉽게 드러내지 않듯이 더 이상 접근이 불가능해진 곳이 되었다. (여기에 더해) 바이러스의 출몰은 가까운 이웃과의 접촉은 물론 새로운 경계로의 확장을 어렵게 했지만, 이는 곧 경계를 넘어서는 발상이 바로 여기서부터 시작된다는 선언의 진앙도 됐던 것 같다.
  2010년 이후 남북관계의 경색 가운데에서도 단둥과 신의주는 마치 발이 바쁜 백조처럼 분주한 물밑 교역의 요충지였다. 이곳을 둘러싼 수많은 부침의 역사는 곧 ‘소통’의 의미를 되묻게 한다.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서 뉴노멀을 이야기하는 이때, 이번 전시를 통해 남한 사회가 줄곧 잊고 있었던 비접촉의 대화가 가능했던 방식을 끄집어내고, 닿을 수 없는 경계에 대한 상상력으로 경계를 허무는 수행을 시도해보기로 했다. 그리하여 한국 사람, 조선족, 북한 사람, 북한 화교라는 이 짧은 단어들의 조합에 담긴 불편함을 그대로 직시할 것을, 그 날선 경계심으로 인한 상호 인식의 부재가 바이러스의 융단 폭격보다 더 치명적일 수 있음을 이야기해보고자 했다.
  국경이라는 상징적, 정치적, 지리적 경계는 차이와 타자를 구축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작동되어 왔다. 국경은 근대 국가의 영토가 제도화되거나 생산됨에 따라 사회적으로 구성된 근대의 산물이다. 호스트만(Horstmann)은 경계 지역의 역동성을 강조하면서 이 지역을 구성하는 내러티브가 두 가지 층위에서 작동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국가의 경계라는 정치적 주권이 작동하는 층위로서의 국경과, 경계 지역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공간으로서의 국경이다.* 이번 전시는 이 두 층위를 넘나들면서 새로운 경계를 인식하는 대상지로서의 신의주- 단둥에 기반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회화와 VR, 휘발되는 퍼포먼스와 견고한 덩어리로서의 설치작품이 서울역이라는 역사적 건물 위에서 공명한다. 이는 혼종의 시간으로서의 접경지대를 설명하기도, 안일하게 타자화시켰던 인식의 사각지대를 지적하기도 하면서 경계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공유한다.
  지난 봄, 압록강 위를 바라보면서 우리는 시간의 무한함과 경계의 유한함을 느꼈다. 오래도록 흐르고 있는 물 위에 우리가 쳐놓았던 경계는 어디쯤 있는 것일까? 새롭고 불가능해보이는 경계도 결국 유한할 수밖에 없음을 예언해보며, 이곳의 경계와 저곳의 경계를 견주어본다. 사람은 건너지 못해도 이념과 바이러스는 활보할 수 있는 이 경계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될 수 있을지 되묻는 전시가 되길 바란다. 그 질문은 질서 정연한 일련의 단계를 함축하고 있기보다는, 대화를 시작하게 하는 말, 혹은 그 대화를 열어젖히는 즉흥적인 말일 것이다. 무엇보다 이 전시는 경계와 접경 지역에 대한 기존 인식을 침식시키고, 견고한 생각을 불투명한 무언가로 전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이 아닌 경계, 흐르고 범람하는 경계 속에서 우리의 시선을 비추어본다.

김보현
큐레이터

* 김성경, ‹북한 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p.13

I visited the Amrok River as a preparatory visit for a research-based exhibition. The delegation included artists, architects, curators and academic researchers, and we could see Sinuiju from the Amrok River. It was vast and much closer than I had anticipated. The mixed dialects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s we encountered in China across the border from Sinuiju opened a new horizon for me. Then, the global outbreak of Covid-19 arrived. The clearer the borders between countries became, the stronger the bond became between our vigilance, our fear and our resistance to the Other. This was the inception of the idea for this exhibition, Border-less.site.
  Symbolizing the idea of ‘borderlessness’ through numerous exchanges and frequent communication, the Dandong and Sinuiju area is a ‘clue’ which can expand our horizons and understandings of border areas. But, just as the more important clues are usually the hardest to find, that area soon became inaccessible to us. Besides, the outbreak of the virus made it difficult not only to reach close neighbors, but to push back against boundaries. However, it follows that in that area, at the epicenter of such a hard, delineated border, the idea of crossing boundaries could begin to be studied.
  Like swans furiously paddling below a seemingly serene surface, Dandong and Sinuiju were the hubs of a busy underwater trade in the midst of the strained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years following 2010, which is now referred to as the lost decade. The history of the numerous ups and downs surrounding these places reminds us of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t a time when we are talking about the creation of the new normal as a response to crisis, this exhibition seeks to unearth the ways in which non-contact conversations (that South Korean society has forgotten) were possible; we thus wanted to try and break the boundary through the imagination of the inaccessible border. We wanted to face the inconveniences contained in these short words – Korean, Joseonjok, North Korean, and North Korea Hawgyo – and to discuss how the lack of mutual awareness, due to our exclusionary vigilance, could be more deadly than a carpet bombing of viruses.
  As the symbolic, political, and geographical boundary, the border has served as an important means to construct differences, and to decide who is the Other. The current concept of the border is a product of a modernity which was socially constructed as the territories of nation-states were institutionalized. Horstmann emphasizes the dynamics of border regions, claiming that the narratives that make up the regions operate on two different levels; the border as the boundary in which state territorial sovereignty practices, and the border as a space created by local people living in the respective regions.* By embracing these two levels, this exhibition features artworks based on the Dandong-Sinuiju area as a place that enables us to recognize new boundaries. Paintings, VR technology, volatile performances, and installations as solid masses resonate in the setting of old Seoul Station, a historic building in South Korea. The exhibition seeks to explain the border area as a time of hybridization, and sometimes points out the blind spot that exists to hide the poorly conceived Other, unraveling various ideas a boundary.
  Last spring, looking out over the Amrok River, we felt the infinity of time and the finitude of boundaries. In the ever-running water, where is the boundary that we define? Predicting that even new and seemingly impossible boundaries will eventually be finite, we compared the boundaries between here and there. I hope this will be an exhibition that questions what boundaries – that people cannot cross but ideology and viruses can – mean to us. This question would not imply an orderly series of steps, but rather an opening statement or an impromptu statement that opens up a continuing conversation. Above all, this exhibition aims to erode existing perceptions of boundaries and border areas, and to transform solid ideas into something translucent. We reflect our gaze not in a line, but in the boundaries that flow and flood.

Kim Bo-hyun
Curator

* Sung-kyung Kim, Border-crossing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border area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 p.13.

intro_1 intro_2
1 0



20세기가 시작되던 때, 백두산에서 시작된 물길의 긴 여정이 끝나는 곳에 두 도시가 만들어졌다. 1904년 대한제국의 운명을 바꾼 러일전쟁이 마무리되면서 압록강은 대륙과 한반도를 가르는 경계가 되었다. 만주가 주 무대였던 고구려 시대의 압록강은 우리 민족의 중심이었지만 조선의 건국과 함께 중심에서 사라졌다. 이성계는 명(明)을 정벌하라는 고려 조정의 명(命)을 거역하고 의주와 신의주 사이에 위치한 위화도에서 회군한 후 조선을 세웠다. 위화도 회군은 압록강 너머가 중국 땅이라는 인식을 우리에게 각인시켰고, 압록강은 한반도의 북측 경계라는 인식이 형성되었다.
  해금정책(海禁政策)을 유지했던 조선이 육로로 중국을 오가는 관문은 의주였다. 의주성의 남문 이름이 해동제일관(海東第一關)인 것은 조선으로 들어오는 첫 문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의주성을 나와 압록강을 건넌다고 바로 중국 땅은 아니었다. 조선의 해동제일관에 해당하는 중국의 관문은 만리장성의 동쪽 끝에 위치한 산해관(山海關)으로 만주에서 중국으로 들어가는 관문이었다. 박지원이 쓴 열하일기(熱河日記)의 시작은 해동제일관이지만 본격적인 중국 이야기는 산해관부터다. 해동제일관에서 산해관에 이르는 만주 일원은 조선과 청 사이에 위치한 중립지대였던 셈이다. 고구려의 주 무대였던 만주는 고구려 이후 군웅할거하던 유목민의 터전으로 중국이 배타적 권리를 갖는 지역이 아니었다. 고려나 조선 역시 만주를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지 않았으나 역사적으로 만주는 우리 땅이라는 인식이 살아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만주에 변화가 생긴 것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거치면서다. 무주공산이었던 만주 쟁탈전의 첫 승자는 러시아였다. 영국에 의해 유럽이 막힌 러시아는 아시아대륙의 동쪽을 개척했고, 1860년에는 연해주를 차지하며, 나진·선봉에서 조선과 마주했다. 1894년에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했지만 승리의 과실은 러시아가 차지했고, 조선은 세계열강이 각축을 벌이는 현장이 되었다. 그러나 1904년의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만주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차지했고, 이는 쌍둥이 신도시 신의주와 단둥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일본제국주의의 침략 욕망은 압록강을 사이에 둔 두 도시를 만들고 철도로 연결하여 신의주를 중국 침략의 전진기지로 삼았다. 한반도의 풍부한 삼림과 자원은 만주국 건설과 중일전쟁의 자산인 동시에 신의주 성장의 배경이 되었다. 관문 도시에서 만주국 특수로 성장한 신의주는 중일전쟁용 군수산업의 에너지원인 수풍댐이 건설되면서 목재도시에서 공업도시로 바뀌었다. 본 전시에서 러일전쟁과 삼림 수탈 그리고 수풍댐의 건설 과정을 보여주는 일련의 자료는 한반도와 만주를 둘러싼 각국의 치열한 각축전과 제국주의 일본의 모습을 보여준다. 전시체제 하에서 신의주의 외항인 압록강 하구의 용암포가 커지고 다사도항이 확장되었다. 수풍댐은 일제가 구축한 만선일체(滿鮮一體)의 핵심시설로 힘과 기술의 상징이었으나, 1945년 일본이 미국과 소련에 패하면서 북과 중국의 공동재산이 되었다. 한반도의 38도 이북을 장악한 소련과 북의 지원으로 1949년 중국에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압록강은 다시 북과 중국의 경계가 되었다. 그러나 6·25전쟁이 남북분단을 고착화시켰고 냉전이 심화될수록 압록강을 사이에 둔 북 중 관계는 더욱 가까워졌지만, 우리에게는 언젠가 회복해야 할 고토의 북측 경계로 강하게 인식되었다.
  1980년대까지 신의주가 두 도시의 경제를 주도했다면, 1990년대 이후에는 단둥이 두 도시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남북 관계가 경직될수록 압록강은 국경으로서의 역할이 흐릿해지고 북중 관계는 더욱 공고해졌다. 압록강 양안의 풍경은 이러한 관계를 잘 보여준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 단둥은 우리가 북과 만나는 또 다른 경로가 되었다. 제국주의와 냉전 이데올로기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압록강은 우리의 의지와 달리 삶의 터전과 경계의 역할을 반복해왔다. 우리가 만들지 않은 경계, 우리의 의지가 개입될 수 없는 경계의 현장은 우리의 문제임에도 우리가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남북관계의 또 다른 모습이다. 우리는 이 현실을, 이 경계를 어떻게 넘어설 수 있을까?

안창모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At the dawn of the 20th century, two cities were built at the end of a long stretch of waterway flowing from Mt. Baekdu. When the Russo-Japanese War, which changed the fate of the Korean Empire in 1904, ended, the Amrok River became the boundary between the continent an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Goguryeo period, when Manchuria was the central focus of the kingdom, the Amrok River was at the center of the Korean people, but this has changed since the founding of Joseon. Disobeying the Goryeo dynasty’s order to attack Ming, General Yi Seong-gye ordered his camp to retreat from Wihwa Island, a river island lying between Uiju and Sinuiju, and founded Joseon. The Wihwa Island retreat imprinted upon us the perception that beyond the Amrok River was Chinese territory, and that the river was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Korean Peninsula.
  For Joseon, which kept the Haegeum (海禁) or sea ban policy—a series of related policies restricting private maritime trading and coastal settlement—the gateway to and from China by land was Uiju. The South gate of the Uiju Castle was called Haedongjeilgwan (海東第一關), meaning the first gate to Joseon. However, for Joseon, crossing the Amrok River after passing the gate of Uiju did not mean that they had arrived in the land of China. The main gateway to China was located at the eastern end of the Great Wall, Sanhaegwan, which was a gateway from Manchuria to China. Although the beginning of the Jehol Diary (Yeolha Ilgi in Korean)—a journal of the Joseon dynasty Silhak scholar Bak Jiwon, written in classical Chinese—is Haedongjeilgwan, the fully-fledged Chinese story begins with the Sanhaegwan. The area of Manchuria, from Haedongjeilgwan to Sanhaegwan, was a neutral area between Joseon and Qing.
  Manchuria was not an area where China had exclusive rights, as it was home to nomadic tribes who had been competing with each other since Goguryeo. Neither Goryeo nor Joseon effectively dominated Manchuria, which is why Manchuria was historically recognized as the territory of Korea. The status of Manchuria, however, changed after the Sino-Japanese and Russo-Japanese Wars. Russia was the first winner. As the route to Europe was blocked by Great Britain, Russia pioneered the eastern part of the Asian continent, occupying Primorsky Krai in 1860 and facing Joseon in Najin and Seonbong. In 1894, Japan won the Sino- Japanese War, but Russia took the fruit of the victory, and Joseon became the battlefield of the world powers. However, Japan, after winning the Russo-Japanese War in 1904, gained exclusive rights to Manchuria, which led to the birth of the twin cities, Sinuiju and Dandong.
  The imperialist desires of Japan created two cities, with the Amrok River in between them, and connected them by rail, making Sinuiju the base for the invasion of China. The abundant forests and resource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assets during the Manchukuo and the Sino-Japanese War, as well as the backdrop for the growth of Sinuiju. Sinuiju, which grew from a gateway city to Manchuria, had changed from a source for timbers to an industrial city with the construction of Supung dam, an energy source for the military industry that served the Sino-Japanese war. Under the wartime system, Sinuiju’s Yongam Port, at the mouth of the Amrok River, and the Dasado Port were expanded. The Supung dam was a key facility built by the Japanese Empire, and a symbol of power and technology, but it became the joint property of North Korea and China when Japan lost to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1945. With the support of the Soviet Union, the Amrok River became the boundar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gain in 1949, when the socialist regime was established in China. As the Korean War solidified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and the Cold War intens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connected by the river in between them, became closer. For South Koreans, however, the river has been recognized as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old territory, which should someday be restored.
  Whereas Sinuiju had led in terms of the economies of the two cities until the 1980s, Dandong has been driving their growth since the 1990s. As inter-Korean relations became more rigid, the role of the Amrok River as a border became blurred,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became more solid. The landscape on both sides of the river clearly illustrates this relationship.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1992, Dandong became another route for us to meet with the North.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of imperialism and Cold War ideology, the river has repeated its roles as a space of home and living and as a border, imposed against our will. The boundary we have not created, the boundary where our will cannot be involved, is yet another aspect of inter-Korean relations where we are not the main agents of problem solving, despite the fact that it is our problem. How can we cross this line, this reality?

Ahn Changmo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Kyonggi University

research_1 research_2 research_3 research_4 research_5 research_6
1 0

주최/운영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문화역서울 284

주관/기획
정림건축문화재단

예술감독
박성태

큐레이터
김보현

초청 큐레이터
김성희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이준영, 최고은

리서치
안창모

디자인
강문식

번역
예스모어

개발
문정주

전시 운영
에이엔디자인

문화역서울 284
04509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
02-3407-3530
www.seoul284.org
facebook/seoul284
instagram.com/culturestationseoul284
youtube.com/seoul284official

정림건축문화재단
www.junglim.org
facebook/junglimfoundation1
youtube.com/junglimfd
twitter.com/JunglimFD
instagram.com/border_less.site

Organized by
Korea Craft&Design Foundation
Culture Station Seoul 284

Directed by
Junglim Foundation

Art Director
Park Seongtae

Curator
Kim Bo-hyun

Invited Curator
Kim Seonghee

Assistant Curator
Lee Junyoung, Choi Goeun

Researcher
Ahn Changmo

Design
Gang Moonsick

Translation
Yes More Translation

Web
Moon Jungju

Exhibition Construction
A&DESIGN

Culture Station Seoul 284
04509 Culture Station Seoul284, Seoul Station(Headquarter)1, Tongil-ro, Jung-gu, Seoul
02-3407-3530
www.seoul284.org
facebook/seoul284
instagram.com/culturestationseoul284
youtube.com/seoul284official

Junglim Foundation
www.junglim.org
facebook/junglimfoundation1
youtube.com/junglimfd
twitter.com/JunglimFD
instagram.com/border_less.site





























A에서는 신의주와 맞닿아있는 단둥 지역을 기반으로 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다양한 분야와 세대의 작가들이 단둥을 답사하면서 느꼈던 풍경과 장소성, 국경지대의 제한된 공간성 등을 감각하는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성장한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는 쌍둥이처럼 닮았으면서도 다른 모습을 품고 있다. 외부인들에게는 제한된 풍경만을 드러냄으로 인해 쉽게 타자화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작가들은 이런 도시에 반응하며 접경지역에서 취할 수 있는 여러 태도로 성찰해낸 각자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신제현

Shin Jehyun

close-popup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최윤

Choi Yun

close-popup

임동우

Yim Dongwoo

close-popup

김태동

Kim Taedong

close-popup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김주리

Kim Juree

close-popup
image image image

이주용

Lee Juyong

close-popup

맛깔손

Mat-kkal

close-popup

코우너스

Corners Studio

close-popup

 신제현 최윤 임동우 김태동 김주리 이주용 맛깔손 코우너스 신제현 최윤 임동우 김태동 김주리 이주용 맛깔손 코우너스 신제현 최윤 임동우 김태동 김주리 이주용 맛깔손 코우너스 신제현 최윤 임동우 김태동 김주리 이주용 맛깔손 코우너스

  Shin Jehyun  Choi Yun  Yim Dongwoo  Kim Taedong  Kim Juree  Lee Juyong  Mat-kkal  Corners Studio  Shin Jehyun  Choi Yun  Yim Dongwoo  Kim Taedong  Kim Juree  Lee Juyong  Mat-kkal  Corners Studio

close-popup
b

















남한과 북한, 북한과 중국이라고 하는 첨예한 갈등과 긴장 속에 있는 이 지역을 살펴보는 일은 “경계”라는 단어가 갖는 의미를 다층적으로 사유해볼 것을 요구한다. 이 파트에서는 섞여 들어간 민족성, 정치적인 동시에 허구적인 경계에 대한 사유, 우리와 바깥을 쉽게 나누는 배타심과 집단적 인식의 오류 등을 숙고해볼 수 있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미디어 작품과 퍼포먼스들을 통해 거대한 역사의 물결 속을 관통하는 개개인의 서사를 우리 안에 비춰볼 수 있을 것이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황호빈

Huang Haobin

close-popup

서현석

Seo Hyun-suk

close-popup
image image image

김황

Kim Hwang

close-popup
image image image

이원호

Lee Wonho

close-popup
image image image image

이해반

Lee Haevan

close-popup

 황호빈 서현석 김황 이원호 이해반 황호빈 서현석 김황 이원호 이해반 황호빈 서현석 김황 이원호 이해반 황호빈 서현석 김황 이원호 이해반 황호빈 서현석 김황 이원호 이해반 황호빈 서현석 김황 이원호 이해반

  Huang Haobin  Seo Hyun-suk  Kim Hwang  Lee Wonho  Lee Haevan  Huang Haobin  Seo Hyun-suk  Kim Hwang  Lee Wonho  Lee Haevan  Huang Haobin  Seo Hyun-suk  Kim Hwang  Lee Wonho  Lee Haevan

close-popup
c

















이번 전시는 어떤 시간대가 정체되어 있기도 하고 빠르게 지나가기도 한 장소를 기록해보는 행위다. 보통의 국민국가가 갖는 합일된 시간성과 달리, 접경지역만이 갖는 불연속적이고 혼종적인 시간성을 회화, 조각, 음악, 건축 등으로 풀어내보인다.
  분명한 우리의 일부였던 장소에 축적된 불연속적인 시간으로 인해 재맥락화된 이미지와 파편화된 세계에 대한 작가들의 탐구는 달라져버린 서로를 조우하게 한다.

image image image

바래

BARE

close-popup
image image image

김보용

Kim Boyong

close-popup
image image image

정소영

Chung Soyoung

close-popup
image image image

라오미

Rhaomi

close-popup
image image image

전소정

Jun Sojung

close-popup

 바래 김보용 정소영 라오미 전소정 바래 김보용 정소영 라오미 전소정 바래 김보용 정소영 라오미 전소정 바래 김보용 정소영 라오미 전소정 바래 김보용 정소영 라오미 전소정 바래 김보용 정소영 라오미 전소정

  BARE  Kim Boyong  Chung Soyoung  Rhaomi  Jun Sojung  BARE  Kim Boyong  Chung Soyoung  Rhaomi  Jun Sojung  BARE  Kim Boyong  Chung Soyoung  Rhaomi  Jun Sojung

close-popup

퍼포먼스 관람 안내

퍼포먼스가 있는 시간에는 해당 공간의 전시 안내 요원의 안내를 따라주세요.

• 서현석, ‹안개 1› @1층 전이공간 (최대 1인)
전시기간 내 매주 토/일, 일 25회, 소요시간 5–7분

[13:00 / 13:10 / 13:20 / 13:30 / 13:40]
[14:00 / 14:10 / 14:20 / 14:30 / 14:40]
[15:00 / 15:10 / 15:20 / 15:30 / 15:40]
[16:00 / 16:10 / 16:20 / 16:30 / 16:40]
[17:00 / 17:10 / 17:20 / 17:30 / 17:40]

• 김보용, ‹반도투어: 드라이브› @RTO
(최대 30인, 2m 간격 준수)

3월 27일(토) 오후 4:00–5:00
4월 10일(토) 오후 4:00–5:00

• 김황, ‹우리는 제자리를 걸었네› @1층 귀빈실
(최대 5인, 2m 간격 준수)

3월 20일(토) 오후 2:00–5:00
4월 3일(토) 오후 2:00–5:00
4월 17일(토) 오후 2:00–5:00
5월 1일(토) 오후 2:00–5:00

– 퍼포먼스 관람은 별도 예약 없이 정해진 시간에 오시면 됩니다. (단, 전시장 입장을 위한 티켓 예약 필수)
– 퍼포먼스가 없는 날에도 1층 귀빈실의 작품은 관람 가능합니다.

Performance Information

During the performance, please follow the instructions of the exhibition guide in the space.

• Seo Hyun-suk, Mist 1 @ Transfer Space, 1st floor (Max. 1 person)
On Saturdays and Sundays, 25 times per day, 5–7min

[13:00 / 13:10 / 13:20 / 13:30 / 13:40]
[14:00 / 14:10 / 14:20 / 14:30 / 14:40]
[15:00 / 15:10 / 15:20 / 15:30 / 15:40]
[16:00 / 16:10 / 16:20 / 16:30 / 16:40]
[17:00 / 17:10 / 17:20 / 17:30 / 17:40]

• Kim Boyong, The Peninsula Tour: Drive @RTO
(Max. 30 persons, 2m spacing)

March 27 (Sat) 16:00–17:00
April 10 (Sat) 16:00–17:00

• Kim Hwang, We Make No Progress @VIP Lounge,
1st floor (Max. 5 persons, 2m spacing)

March 20 (Sat) 14:00–17:00
April 3 (Sat) 14:00–17:00
April 17 (Sat) 14:00–17:00
May 1 (Sat) 14:00–17:00

– You can watch the performance without reservation. (Exhibition ticket required to enter the space)
– You can watch the works in the VIP room on the 1st floor on days without the performance.